메인메뉴 바로가기본문 바로가기


CATCH

캐치뉴스


육아 관련 복지제도 확실한 기업들 !기업정보

7,923

21-02-23

육아휴직 사용률이 14년간 거의 100% 도달하는 회사가 있다는데

육아 관련 복지제도 확실한 기업들!


 

(이미지출처: 게티이미지뱅크) 

 

1.육아기 재택근무제있는 포스코


포스코는 여직원이 출산전후 휴가 90일 외에도 최대 2년의 육아 휴직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승진/평가에 불이익이 없도록 제도화를 했다. 또한 포스코는 육아기 재택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다. ‘경력단절 없는 육아기 재택근무제’는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가 있는 포스코 직원이라면 직무 여건에 따라 전일(8시간) 또는 반일(4시간) 재택근무를 신청할 수 있다. 이는 재직 중 최대 2년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출처: 게티이미지뱅크) 

 

포스코 현직자 한마디


현직, 정규직 경력 입사, 10년차

“육아휴직 등 여성복지는 좋아요 육아휴직기간의 평가나 휴가 등 제도는 좋은 편이에요”


근무시간ㆍ휴가 만족도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쓸 수 있나요?


자유롭게 쓰는 편이다. 60% 

 

 2.남성육아휴직 의무화한 롯데


롯데는 2012년 국내 대기업 최초로 여성 자동육아휴직제도를 도입했고, 이후 2017년 1월부터 전 계열사에서 남성육아휴직을 의무화했다. 새 자녀가 태어났을 시, 롯데의 남자 직원은 외벌이 부부 경우 1년 이내, 맞벌이 부부 경우 2년 이내에 최소 1개월 육아휴직을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롯데에서는 휴직 첫 달에 통상임금 100%를 지급하면서 이를 의무화하고, 권장하고 있다.


 

(이미지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롯데 현직자 한마디


전직, 정규직 신입 입사, 4년차

“복지 좋고 육아휴직 많이들 씁니다. 임직원카드로 롯데백화점 할인받아요”


현직, 정규직 신입 입사, 5년차

“여성들의 육아휴직이 강제적이다ㅋ 출산휴가 신청시 육아휴직이 자동으로 신청되며 육아휴직을 안할 경우 따로 결재를 올려야 함”

 

3.육아제도 끝판왕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은 최대 육아휴직 가능 기간이 3년이다. 외에도 아이가 36개월이 때까지 1 육아휴가를 있고, 6세가 때까지 시차 출퇴근제를 이용할 있다.

 

국민연금공단 현직자 한마디

 

현직, 정규직 신입 입사, 1년차

육아휴직이나 휴가가 자유롭습니다. 다들 친절하고 좋습니다!!”

 

현직, 정규직 경력 입사, 3년차

칼퇴가 가능하고 육아휴직 자유롭게 사용할수 있음

 

전직, 정규직 경력 입사, 7년차

육아휴직, 모성보호시간, 칼출근 칼퇴가능

 

근무시간ㆍ휴가 만족도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있나요?

자유롭게 쓰는 편이다. 94%

 

 

4.육아휴직 사용률이 100% 임박하는 유한킴벌리

 

유한킴벌리는 육아휴직 사용률이 14년간 누적 98.2% 달성하여 거의 100% 도달했다. 출산휴가 복직 비율 역시 100% 기록하며 출산, 육아 지원에 힘쓰는 모습을 있다. 특히 임산부 간담회를 마련해 임신과 출산을 축하하고, 출산 문화 활성화를 위한 제안을 듣고 있다.

 

 

(이미지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유한킴벌리 현직자 한마디

 

현직, 정규직 신입 입사, 4년차

회사 복지가 맘에들고 육아휴직을 쓸수있어 좋아요

 

전직, 정규직 신입 입사, 7년차

안정적이며 직원복지가 좋은편이다 육아휴직이 있어 좋다

 

근무시간ㆍ휴가 만족도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있나요?

자유롭게 쓰는 편이다. 78%

 

 5.법보다 많이 보장해주는 신세계의 육아제도

 

신세계는 법으로 보장된 90일의 출산휴가와 1년의 육아휴직을 별개로, 임신을 인지한 시점부터 사용 가능한 최대 9개월의 출산 휴직과 1년의 희망육아휴직을 사용가능하게 했다. 따라서 출산 전후로 3년의 출산·육아 휴직을 사용할 있다

 

신세계 현직자 한마디

 

현직, 정규직 신입 입사, 5년차

육아휴직 휴가사용이 자유로운 편이다. 직원 복지혜택이 좋은 편이다

 

근무시간ㆍ휴가 만족도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있나요?

자유롭게 쓰는 편이다. 53%

 

6.휴직기간 소득 걱정 없는 KT&G

 

KT&G 육아휴직을 최대 3년까지 보장한다. 특히 육아휴직 1 차에는 지급되는 정부지원금 외에 회사가 100 원을 추가로 지급하고, 2 차에는 회사가 200 원을 전부 지원하여 휴직 기간 내내 200만원을 지급한다. 따라 육아휴직 동안에도 별도 소득 없이 육아에 전념할 있다.

 

 

(이미지출처: 게티이미지뱅크)

 

근무시간ㆍ휴가 만족도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있나요?

자유롭게 쓰는 편이다. 70%

 

 

 

알짜기업 숨은 정보 CATCH

목록보기

기업정보의 기사 더보기

더보기 +

관심기업 채용공고

전체 0